개발자 준비과정/HTML, CSS

1~2일차 테이블,자기소개서 페이지 만들기

하늘바람a 2024. 2. 1. 22:15

 

1월30일부터 K-Digital Training을 수강중이다.

매일 배운 내용을 블로그에 적어보며 복습해본다.

 

Html과 Css를 하기 위해서 먼저 에디터를 설치하였다. 에디터란 텍스트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.

MS에서 만든 Visual Studio Code를 설치한다.

그리고 확장프로그램으로 Live Server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프로그램 결과를 확인한다.

 

<!DOCTYPE html> // html5 웹표준 문서임을 알려줌

<html lang="en"> // html 시작

<head> // html 정보를 알려주는 태그

<meta charset="UTF-8"> // (관련 정보 중에서) 사용하는 코드는 유니코드(utf-8)-전 세계의 언어를 모두 표현
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 // 반응형 사용시 디바이스(장치) 설정

<title>Document</title> // 웹페이지 제목

</head>

<body> // 본문 내용 시작

 

</body> // 본문 내용 끝

</html> // html 끝

 

태그 : <, > 사이에 사용하는 명령어

부모태그 : 상위에 있는 태그

자식태그 : 부모 태그 안에 있는 태그

손자태그 : 자식 태그 안에 있는 태그

형제태그 : 같은 레벨의 자식태그

 

<br> : 줄 바꿈 태그 <p> : 문장 태그 2줄바꿈 <img> : 그림 태그 <div> : 항목(공간) 구분 태그 <span> : 글자 태그

 

<p>태그 안에 p태그, div태그는 들어갈 수 없다.

<div>태그 안에 p태그, div태그는 들어갈 수 있다.

 

css : html(데이터 디자인 언어 (=style)

 

inline style(인라인스타일) : 태그 안에 스타일을 지정

내부스타일 : <head>와 </head> 사이에 스타일 지정

외부스타일 : 따로 css파일을 만들어 link를 걸어 지정

 

※ 인라인스타일>내부스타일>외부스타일

 

border : 5px solid blue ;

테두리 두께 선종류 선색상

 

margin-right : 100px;

여백 오른쪽

 

선택자 : 태그를 지정하는 속성

선택자 종류 :

1. class .(점)으로 표시, 중복 사용 가능

2. id : #(샵)으로 표시, 중복 사용 불가,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 가능

 

shift + alt + 화살표 아래 : 현재 줄 복사

shift + alt + 드래그 : 세로 구역 설정

 

 

2일차 테이블 만들기
2일차 자기소개서 페이지 만들기

 

 

선택자 종류

1. class

2. id

3. tag

4. ,(콤마) : 다중선택자

 

position : 위치를 지정 할 수 있다.

1. absolute : 절대 위치 지정. 자식태그

2. relative : 상대위치 지정. 부모태그

3. fixed : 고정 위치

 

top, left, right, bottom를 사용할 수 있다.

(top, left 기준)

z-index : 레이어 개념 -숫자가 클 수록 위로 올라온다

 

테이블 만들기

<table>

줄 만들기<tr>

칸 만들기<td>

 

<margin>여백태그. 순서는 위아래, 좌우.

그림도 글자로 인식

<padding>안쪽 여백 지정

 

커서를 댔을 때 손가락 모양으로 바꾸기

.table tr td{

cursor:pointer;}

커서를 댔을 때 글자 배경색과 글자색 바꾸기

.table tr td:hover{

background:black; color:white;}

 

모든 태그에 적용 *{ }

 

first-child, last-child

 

background url 가져오는 법

background:url(../img/hoho.jpg);

 

 

.left .pic{}

.left .pic img{}

.right p{}

.right p{}:first-child{}